제목
(08)주요거시경제변수 전망을 위한 거시경제계량모형 개발?
작성부서
재정추계팀
등록일
20080101
조회수
6912
내용

〔목 차〕

 

〈요 약〉 

I. 서론  1

II. 분기거시경제계량모형  4

 1. 모형의 기본구조 및 특징  4

 2. 부문별 방정식 체계  8

  (1) 최종수요부문  8

  (2) 금융부문  10

  (3) 임금 및 물가부문  11

  (4) 노동 및 생산부문  12

 3. 추정방법 및 추정결과  16

  (1) 자료 및 추정방법  16

  (2) 모형의 적합성  17

4. 정책 시뮬레이션 결과  19

  (1) 콜금리가 실제치 보다 25bp 증가 충격  20

  (2) 정부지출이 실제치 보다 1% 증가 충격  21

  (3) 농산물 및 유가가 실제치 보다 1% 상승 충격  22

  (4) 원/달러 환율이 실제치 보다 1% 상승 충격  23

  (5) 엔/달러 환율이 실제치 보다 1% 상승 충격  24

  (6) 건축허가면적이 실제치 보다 1% 증가 충격  25

5. 요약 및 관련 시사점  26

III. 장기 구조모형  30

 1. 장기모형 관련 선행연구  30

  (1) 미국의 공적연금관련 거시경제변수 추계방법  30

 


 

   가. 장기 성장모형  31

   나. 주요 가격변수들의 가정설정 및 추계결과  39

  (2) 일본의 공적연금관련 거시경제변수 추계방법  45

   가. 장기 성장모형 기본구조  45

   나. 주요 가격변수들의 가정설정 및 추계결과  50

  (3) 우리나라의 거시경제변수 추계방법  53

   가. 장기 성장모형의 기본구조   53

   나. 주요 가격변수들의 추정방법  56

   다. 장기전망 시나리오 및 추정결과   58

  (4) 관련 시사점  62

 2. 모형의 기본구조   64

 3. 장기모형 구조의 검정   67

 4. 외생변수 가정  74

  (1) 외생변수와 시나리오  74

   가. 고용의 장기추세  74

   나. 노동소득분배율과 투자율 장기추세  80

   다. 자본스톡추계  83

   라. 자본장비율 및 자본산출계수 장기추세  85

   마. 총요소생산성 증가율  87

   바. 시나리오 종합  89

5. 시나리오별 주요 거시경제변수의 장기추세  91

6. 요약 및 관련 시사점  98

IV. 결론 및 시사점  102

첨부
(연구07)주요거시경제변수 전망을 위한 거시경제계량모형 개발.pdf
목록
다음글
(08)가입자통합 재정추계모형 타당성 연구
이전글
(08)중기재정추계모형 개선 및 중기재정전망(2010~2014)